땅콩집의 의미 장점과 단점
과거와 달리 자녀 없이 부부만 사는 세대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미니멀한 삶을 원하는 세대가 늘어나면서 한 필지에 두 채의 주택을 짓는 땅콩집 등 새로운 주거공간이 등장하고 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미를 살펴보면 먼저 집을 주택 또는 복층주택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호텔은 위층과 아래층이 있는 복층 구조로 되어 있어 복층 객실처럼 두 개의 별도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것을 땅콩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집의 모양이 멀리서 보면 좌우가 똑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복층형은 대개 수직적으로 하층과 상층으로 나누어져 있어 좌우 대칭형인 땅콩집과는 조금 다릅니다.
이런 주택이 주류로 자리 잡은 이유 중 하나는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돼 주택을 구입하려면 일정 수준의 자산을 보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인기 있는 주택 형태인 아파트는 정부가 다양한 제도를 통해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매 가능성은 낮다.
그리고, 당첨되더라도 입주를 위해 대출을 받아야 하고, 금리 변동으로 인해 매달 일정 금액을 갚아야 하기 때문에 현재 가지고 있는 자금만으로는 주거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그 밖에도 빌라, 다세대, 오피스텔 등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나 국내 아파트에 비해 주거환경과 안전성, 쾌적성이 떨어지므로 주거용으로 만들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집과 거기에 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마당이 있는 단독주택으로 저렴한 가격에 입주가 가능한 땅콩주택을 원하는 사람이 늘었다.
우선 한 필지당 2채의 주택을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비용으로 지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체적인 건축비와 토지매입비를 모두 2가구에서 따로 지출할 수 있고, 한쪽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자재비가 절감되어 공기와 공사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다른 장점은 디자인을 통해 자신의 생활 패턴에 맞는 내부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그곳에 사는 가족들이 원하는 공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층간소음 등 아파트단지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 아이를 둔 부모들의 마음도 편안해진다.
하지만 땅콩집은 함께 지은 집이기 때문에 재산권 행사 시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건물지분과 토지지분은 각각 별개의 소유이기 때문에 해당 지분을 양도하거나 처분할 때 상대방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세대별로 맞춤형 디자인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전을 원할 때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음을 제대로 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으니, 입주 여부를 결정하기 전 이 점을 잘 살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