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 1월 10일 저출산 대응을 위한 ‘제1차 데이터 기반 인구전략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파급력이 높은 저출산 정책 수립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데이터 기반 인구전략 자문회의에는 김영미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류연규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박은정 보육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참석했다.
정종우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최슬기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저출산의 원인을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저출산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과 비전을 논의하는 자리에 참석하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저출산의 원인과 정책효과성에 대해 연구하고 검토한 실증연구를 공유하고, 종합적인 저출산 정책의 방향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저출산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고용·주거·육아 부담 증가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복합된 결과”라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누구나 자신의 일과 가족, 개인 생활을 원하는 방식으로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며 기업이 적극적으로 변화해야 함을 강조했다.
https://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ni/2024/01/10/2401101725494480.jpg
아울러 정부와 기업 간 파트너십 강화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기업 내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 활용을 장려하기 위해 다각적인 지원 정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김영미 부위원장은 “저출산 정책은 제도적으로 추진됐지만 실제로는 정책 기반이 부족해 국민 인식이 낮았다”고 말했다.
과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어 “미래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진단된 청년층의 경쟁압력”이라며 “앞으로도 청년층의 불안과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각 분야에서 혁신적인 미래전략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취업, 주거, 보육 등이 모두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아이를 키우면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저출산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자 미래 전략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데이터 기반 인구전략 자문’을 시작으로 회의’를 시작으로 직장, 교육, 돌봄부터 시작하겠습니다.
” 이어 “각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전략을 찾기 위해 순차적으로 기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의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