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법계통화분(법계통화분: 법계를 통한 변신)

→ 한자해석 : 法(법) 界(세상) 通(소통하다, 알리다) 化(교화하다) → 참고: 通化(화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중생을 교화시킨다.

19~1→ 원문: 須菩提 於意云何 若有人多 → 한글 : 수보리에 대하여 의운하 유인 만삼천대천 세계 칠보 이용보 시 이시년 득복다부 여시 세계적 사슬 이시년 득복심다 → 한자 번역 : 須菩提(수보리).於(to)意 ( 의미) 云(말하다) 何(무엇).若(만일) 有(누군가) 人(사람) 滿(채우다) 三千大千世界(삼천대천세계) 七寶(칠보) 以(하다)用(주다) ) 布施(주다), 是(이) 人(사람) 以(에게) 是(이) 因緣(관계) 得(얻다) 福(축복) 多(많이) 不(아니다).如是(그것과 같다) . 세존(세종).此(이) 人(사람) 以(~에게) 是(이) 因緣(관계) 得(얻다) 福(축복) 甚(매우) 多(많이) → 번역: Subhuti.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를 칠보로 채우고 보시하면 이 인연으로 복을 많이 받느냐? 좋아요. 이봐 선. 이 사람은 이 관계를 통해 큰 축복을 받았습니다.

19~2→ 원문: 須菩提 若福德有實 如來不說 得福德多 以福德無GO 如來說得福德多→ 한글: 수보리 약복덕유실 여래 운술득 북복덕다 이복덕 무고 여래 설득 복덕다 → 한자 솔루션 : 須菩提(수보리).若(만일) 福德(복덕) 有(있다) 實(실제), 如來(타토래) 不(아니다) 說(말하다) 得(얻다) 福德(복덕) 多(많은).以(때문에) 福德(축복) 無(없음) late(때문에) 如來(타토래) 說(말하다) 得(얻다) 福德(축복) 多(많이) → 번역: Subhuti. 만약 복덕이 정말로 존재한다면 여래는 그가 많은 복덕을 얻었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복덕이 없기 때문에 여래는 많은 복덕이 있다고 가르쳤다.

→ 설명 : 여래께서 복덕이 없기 때문에 복덕이 많다고 설하신 부분은 설명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축복은 행복이고 미덕은 베푸는 것입니다.

행복은 만족하고 좋은 징조를 유지하는 것이며, 너그러움은 공존을 위한 공감과 나눔의 마음, 즉 대상의 지향을 존중하고 돕는 마음입니다.

즉 중생의 제도의 행복한 마음, 또는 보시의 행복한 마음을 복덕이라 한다.

사실 중학생을 많이 했다면 이 사람은 복덕이 실체 없는 허구라는 것을 알고 깨달은 사람이다.

그래서 이 사람에게 축복이 많고 적음은 모두 허구입니다.

그러한 사람에게 여래는 그가 많은 복덕을 설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복덕이 없는 사람, 즉 많고 적은 덕에 집착하는 사람, 즉 복덕이 허구임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이라 여래는 복덕이 많다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미덕. 무슨 뜻이에요? 복덕은 복덕의 본질인 자성이 없기 때문에 실체가 없다.

행운의 양상이나 속성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것이 아니라 객관적이며,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하기 때문에 정해진 기준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베푸는 행위가 축복과 덕을 창조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축복이 실체가 없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더라도 보는 것이 주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축복이라고 설명한다.

단지 자아에 대한 집착에 사로잡혀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가치를 중시하고 이러한 가치가 허구임을 깨닫지 못할 뿐이다.

여래가 우상에 사로잡힌 자들에게 많은 복덕을 설하셨으나 보살에게는 복덕을 설하지 않으셨다는 말이다.